통계3 3. 변수 / 측정 / 척도 / 모수치와 통계치 가. 변수 연구자가 관심을 갖는 특성이 적어도 2개 이상의 다른 값을 갖는 것 상수(constant): 연구자가 관심을 특성이 1개로 통일된것 변수구분 내용 다른말 계수자료 하나, 둘, 셋 과 같이 세어서 나온 자료 비연속 변수(이산변수) 측정자료 길이처럼 측정되어 나온 자료 연속변수 나. 측정 분류된 관찰 특성이 관철되고 어떻게든 분류되었으면 이것은 측정된 것 다. 척도 측정하기 위한 어떤 형태, 수단 척도명 내용 예시 비고 명명척도 관찰된 특성을 분류 하는 것 - 남자, 여자 -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 짜장, 짬뽕 명명척도 < 서열척도 < 등간척도 < 비율척도 - 비율척도는 등간척도의 모든 속성을 가지고 있고 등간척도는 서열척도의 모든 속성을 가지고 있다. 서열척도는 명명척도의 모든 속성을 .. 2023. 11. 14. 2. 기술통계 및 추리통계 가. 기술통계 수집한 자료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특성을 나타내는 것 나. 추리통계 표집통계라고도 불림 가장 이상적인것은 연구하고자 하는대상 모두를 결과를 기록하는 것 하지만 그럴 수 없으니 전체집단(모집단)에서 비슷한 집단을 임의로 뽑은 뒤(표본) 진행 통계치: 표본이 가지고 있는 평균, 표준편차 등과 같은 정보 표본의 통계치를 사용해 '모집단은 이럴것이다'라고 추론하는 방법 전체 집단을 정확하게 대변한다고 할 수는 없음(표본 뽑을때 우연성이 있기 때문) 1) 모집단과 표본 모집단: 연구자의 정의에 의해 성립되는 전체 집단 표본: 모집단에서 추출된 모집단의 부분 2) 표본 추출 방법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확률적 표집과 비확률적 표집으로 나뉨 확률적, 비확률적 표집의 차이 기준 확룔적 표집 .. 2023. 11. 13. 1. 연구주제, 연구질문, 연구가설이란? 가. 연구주제 이론적 토대 또는 선행연구를 통해 이루어짐 선행연구가 현재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지는지 생각해볼 필요성 있음 사회적 환경과 연구자체의 고유한 특성에 따라 연구결과 다양함 연구자 스스로의 경험과 접목하여 새로운 연구주제를 선정 가능 나. 연구질문 연구주제를 구체적으로 조직화한 것 연구자가 실험 또는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것 다. 연구가설 연구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가설 수립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자 자신이 연구주제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말로 표현한 것 연구가설 설정시 중요한 3요소 번호 내용 1 모집단(전체집단)을 명확히 정의해야 함 2 연구에 이용되는 변수들 사이에 예상되는 관계를 진술해야 함 3 종속변수와 독립변수의 기능적 정의를 제공해야 함 2023. 11. 1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