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원격저장소: github의 repository
로컬저장소: 내 컴퓨터의 폴더
[방법]
회원가입 되어있다는 전제하에 진행한다. 그리고 자세한 등록사항이나 입장 사항은 생략한다.
1. ssh 발급
- git bash를 통해 ssh-keygen 입력하고 엔터를 세번 누른다.
- id_rsa(개인) 와 id_rsa.pub(공용) 두개의 파일이 생성된다
- git bash 에서 cd ~/.ssh 로 들어간다.
- cat id_rsa.pub을 입력하고 git bash에 나온 키를 복사한다.
- git hub의 settings에서 ssh를 등록한다.
2. repository 생성 및 원격 저장소 등록
- 레포지토리 생성
- 레포지토리에서 code를 눌러 ssh를 복사한다.
- 원격 저장소 등록
- remote: 내가 지정한 폴더와 repository를 연결함
- 새로운 폴더를 만듬
- cd 폴더명으로 입장
- git retmote add origin 복사한 ssh
- git remote -v 를 통해 원격 저장소와 로컬저장소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
- config 저장 전이라면 등록한 후 remote실시
- clone: repository이름으로 폴더가 생성되면서 안의 내용물 다 가져옴
- git clone 복사한 ssh
- git remote -v 를 통해 원격 저장소와 로컬저장소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
- remote: 내가 지정한 폴더와 repository를 연결함
Git - Git 최초 설정
Vim과 Emacs, Notepad++은 꽤 인기 있는 편집기로 개발자들이 즐겨 사용한다. Mac이나 Linux 같은 Unix 시스템, Windows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하다. 여기서 소개하는 편집기들이 불편해서 다른 편집기를 사
git-scm.com
'Language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 22: Connection timed out (0) | 2024.04.08 |
---|---|
freeze and install (0) | 2024.04.07 |
git 명령어 정리 (0) | 2024.03.13 |